칼라강판은 아연도금강판 등의 철판 표면에 특수 도료를 코팅하여 내식성, 내후성, 미관을 강화한 금속 마감재입니다.
지붕용 칼라강판은 주로 주택, 창고, 공장, 체육관, 축사 등에 사용되며,
기존 슬레이트나 기와, 함석을 대체하는 경량·고성능 자재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칼라강판의 장점
- 경량성
- 기존 기와 대비 1/5~1/6 무게로 건물 하중 부담 감소
- 경량 구조물 시공 가능
- 기존 지붕에 덧시공 가능 (하지작업 필수)
- 우수한 내구성/내식성
- 아연도금, 갈바륨 등 금속 코팅 + 고내후성 도료로 녹·변색에 강함
- 10~20년 이상 수명 기대
- 탁월한 시공성
- 가공성 우수(절단·절곡 쉬움), 건식 공법으로 계절 영향 적음
- 현장 맞춤 재단 가능, 공기 단축
- 겹시공 이후 고정 하는 과정이 매우 빠름
- 다양한 디자인
- 기와형, S골형, 평판형 등 다양한 패턴
- 색상 선택 자유로워 건축물 디자인에 용이
- 친환경성 및 유지관리 편리
- 100% 재활용 가능, 유지비 저렴
- 지붕 보행 가능해 점검 및 유지보수 용이
- 에너지 효율성 (폼 부착 칼라강판)
- 태양 반사율이 높아 여름엔 실내 온도 상승 억제
- 겨울엔 단열 효과로 열손실 방지
칼라강판의 단점 및 유의사항
- 소음 발생
- 우천 시 소음이 클 수 있음
→ 단열재·방음재 보강 및 폼강판 대체
- 우천 시 소음이 클 수 있음
- 단열 및 방수성
- 겹침 시공 + 실리콘 코킹으로 강한 비바람에 약함
→ 겹시공 방식이기에 태생적 한계
→ 하지 작업 이후 단열재 추가 시공
- 겹침 시공 + 실리콘 코킹으로 강한 비바람에 약함
- 마감도 낮음
- 처마마감은 대부분 피스와 실리콘으로 마감됨
- 지붕재의 골(단차)가 있어 처마와 지붕이 이격되있음
- 변색 우려
- 장기간 자외선·기후 노출 시 색상 바램 가능
→ 불소계(PVDF) 도료 사용 시 내후성 강화
- 장기간 자외선·기후 노출 시 색상 바램 가능
- 못·볼트 부식
- 체결 부위의 부자재가 녹슬 경우 누수 발생 우려
→ 스테인리스, 방청처리 제품 사용 권장
- 체결 부위의 부자재가 녹슬 경우 누수 발생 우려
- 시공자의 숙련도
- 방수, 내구성, 미관은 시공 품질에 크게 의존
→ 경험 있는 시공팀 필수
- 방수, 내구성, 미관은 시공 품질에 크게 의존
- 슬라브 옥상과 부적합
- 옥상 보행이나 구조물 설치 목적에는 비효율적
시공 방법 요약
- 기존 구조물 및 바탕면 정리
- 기와, 슬레이트 철거 후 청소 및 하자 보강
- 하지(하부 구조) 시공
- 방부목, 각재, 철재 등으로 견고하게 시공
- 40cm 간격 가로상 확보
- 수평 및 물매 확보 → 빗물 배수 유도
- 칼라강판 재단 및 배치
- 현장 치수 맞춤 절단
- 이음부가 겹치도록 설계하여 누수 방지
- 칼라강판 고정
- 30~50cm 간격으로 전용 못·스크루볼트 고정
- 이음부는 최소 10cm 이상 겹침
- 방수 및 마감
- 실리콘 코킹, 후레싱, 캡 등으로 방수 처리
- 용마루, 처마, 벽체 접합부 마감 필수
- 최종 점검 및 마무리
- 고정 상태, 방수 여부, 미관 등 종합 점검
시공 시 유의사항 체크리스트
- 하지 구조물은 반드시 견고하게 시공
- 이음부 겹침 및 실리콘 처리 철저
- 스테인리스 못/방청 볼트 사용
- 지붕 경사 및 배수 방향에 맞춘 설계
- 단열/방음 보강 재료 사용 권장
마무리
지붕개량 사업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자재 중 하나는 바로 지붕용 칼라강판입니다.
칼라강판은 미관, 시공성, 내구성을 고루 갖춘 건축 자재로, 특히 경량성과 경제성 덕분에 노후된 기와나 슬레이트 지붕의 대체재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자재비와 시공비가 비교적 저렴하고, 기존 지붕 위에 덧씌우는 방식의 시공도 가능해, 비용 부담이 적고 공사 기간도 짧은 편입니다. 이런 이유로 다양한 형태의 지붕에 폭넓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몇 가지 주의할 점도 있습니다.
처마 마감의 경우 피스나 실리콘이 외부로 드러나 미관과 내구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겹시공 구조의 특성상 지붕 경사가 낮은 구조물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특히 강풍, 폭우가 자주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누수나 들뜸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어 현장 조건을 면밀히 파악한 후 전문가의 상담을 받는 것이 필수입니다.
2025.04.21 - [시공 정보/건축자재] - 징크판넬과 시공 방법 및 특성, 장단점 소개
징크판넬과 시공 방법 및 특성, 장단점 소개
건물을 짓거나 리모델링할 때 외장재 선택은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외관의 디자인뿐 아니라 단열 성능, 시공성, 유지관리까지 모두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죠. 오늘은 최근 다양한 건
sshak.tistory.com
2025.04.18 - [시공 정보/건축자재] - 고밀도 목재패널 Fundermax NT (푼더막스) 자재 소개
고밀도 목재패널 Fundermax NT (푼더막스) 자재 소개
푼더막스(Fundermax)는 오스트리아에 본사를 둔,전 세계 80개국 이상에서 사랑받고 있는 프리미엄 HPL(고압 라미네이트) 패널 브랜드입니다.그중 NT 시리즈(Next Technology)는외벽 마감재, 내장 벽체, 칸
sshak.tistory.com
2025.04.15 - [시공 정보/세라믹사이딩] - 세라믹 사이딩 추천: i-cube 시리즈별 스펙과 장점 비교
세라믹 사이딩 추천: i-cube 시리즈별 스펙과 장점 비교
건축 외장재를 고를 때, 아름다움만큼 중요한 것이 내구성과 유지관리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i-cube 세라믹 사이딩은 일본 니치하사의 첨단 기술력과 장인정신이 집약된 제품으로, 국내에서는
sshak.tistory.com
2025.04.15 - [시공 정보/징크] - 징크 외장재 선택 가이드 – 글로벌 브랜드별 특성, 색상, 용도 정리
징크 외장재 선택 가이드 – 글로벌 브랜드별 특성, 색상, 용도 정리
오리지널 징크(Original Zinc)는 고급 외장 마감재로 널리 사용되며, 국내에서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뛰어난 내구성과 내식성, 우수한 시공성과 디자인 완성도까지 갖춘 징크는 상업시설,
sshak.tistory.com
'시공 정보 > 건축자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징크판넬과 시공 방법 및 특성, 장단점 소개 (0) | 2025.04.21 |
---|---|
고밀도 목재패널 Fundermax NT (푼더막스) 자재 소개 (0) | 2025.04.18 |
스페니쉬 S형 기와 완전 정복! 종류, 특징, 시공 팁까지 (0) | 2025.04.11 |
하이클래딩 M블럭 합성목재 사이딩, 디자인부터 시공까지 완벽 정리 (1) | 2025.04.10 |